동창회 "총장선임 참여 길 열어 달라"
페이지 정보
작성일23-10-16 10:48 조회 155회 댓글 0건본문
회장단, '총추위' 원상회복 요구
동창회, '대책위원회' 구성 검토
윤상현 이사, "1,2호 안 동시 의결"
모교 동창회(이하 동창회)는 모교 재단인 영남학원의 총장후보추천위원회(이하 ‘총추위’) 폐지는 모교 발전에 역행하는 처사라며 동창회가 총장 선임에 참여할 수 있는 길을 열어 달라고 요구하기로 했다.
동창회는 지난 7일 긴급 회장단 회의를 열어 이같이 결정하고 재단에 ‘총추위’ 원상회복과 함께 제도적 보장 요구 원칙을 세웠다.
또 지난달 동창회보를 통해 모교 재단의 ‘총추위’ 폐지가 시대에 뒤떨어진 발상이라는 공론이 형성된 이상 대학과 동문은 물론 사회적 여론 확산에 주력한다는 의견을 모았다.
▲회장단 회의를 진행하는 윤동한 회장
동창회는 이번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전문가들로 구성된 별도의 ‘대책위원회’를 두는 방안을 고심하고 있다.
이어 다음 달 초에도 회장단 회의를 열기로 하고 이달 중순, 미국 LA에서 열린 모교 동창회 미주 총련 정기총회에도 이 안건을 보고했다.
회장단 회의는 먼저 지난해 12월 ‘총추위’가 폐지될 당시 재단 이사회 회의에 참여했던 윤상현 재단 이사로부터 당시 회의 분위기와 절차 하자 논란을 상세히 설명 들은 뒤 개인별 토론 순으로 이어졌다. 윤 이사는 이사회 회의 당시 ‘총추위’를 폐지하는 1호 안건과 이공대 정원 조정을 다룬 2호 안건을 한꺼번에 묶어 찬, 반을 묻는 편법이 동원됐다고 거듭 주장했다. 윤 이사는 이는 안건별로 분류돼 표결해야 한다는 사립학교법 위반이라고 밝혔다. 또 총장 선임 절차를 바꾸는 중대한 정관변경 안건을 당사자인 교수, 직원, 동창회 등에 사전 사후 토의나 통보도 없이 전격 추진한 것은 ‘준비된 의도’가 있었다고 지적했다.
개별 토론에서는 “이사회 회의 녹취록을 입수해 진상을 밝히자”는 의견을 비롯해 “‘총추위’를 없앤 실질적인 의도는 뭔가?”, ”재단 이사회 구성이 합리적이지 않다“, ”잘못된 이사회 결정이 번복 가능한가?“, ”총장, 재단 이사장, 동창회장 등 3인이 직접 만나 대화하자“는 등 다양한 입장이 표출됐다, 특히 동창회가 그동안 꾸준히 재단 이사회에 요구한 ‘동창회 몫 1명 할당’이 받아들여지지 않아 이러한 독선적 결과를 초래했다는 당위론도 나왔다. 현재 학교를 운영하는 한 부회장은 ”재단은 동창회 목소리를 배제할 수 없다“는 경험담을 털어놓기도 했다.
이와 함께 ‘총추위’ 폐지 절차의 하자 의혹에 적극 대응해야 한다는 의견에 대해서는, 이를 법적으로 옳다 그르다 다투는 자체가 안타깝고 사태의 본질은 아니라고 해명했다. 대학 구성원의 의견을 무시한 채 일방적으로 총장을 선임하겠다는 발상 자체가 명분을 잃었다는 것이다.
"총장 일방적 임명 명분없어"
"영남대는 공공성 강한 사학"
" '총추위' 폐지 잘못 지적 일축 유감"
" '허위 거짓 제보' 주장은 감정적"
동창회는 영남대가 지역 선각자들의 정성이 모여 설립된 역사성 등을 고려할 때 어느 사학보다 공공성이 강한 만큼 대학 운영에 지역 사회의 적극 참여를 이끌어야 한다는 의견에 동감하고 있다.
모교의 위상이 엄연하고 ‘총추위’에 더 많은 구성원 참여가 절실한 사회적 상황을 도외시한 처사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일관된 입장이다.
그런데도 동창회는 재단이 ‘총추위’ 폐지 절차에 중대한 잘못이 있다는 질의를 일축해 버린 처사는 사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더구나 ‘무분별한 거짓 의혹 제기’라는 감정적 용어를 써 가며 동창회 주장에 억지를 부리는 것처럼, 사태의 본질마저 훼손되는 반박에 실망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총추위’ 폐지로 촉발된 모교 재단과 대학, 동창회 갈등이 서로 간 대화로 풀 수 있는 통로가 마련될지, 지역 사회와 구성원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